본문 바로가기
  • Peace :)
반응형

: 마케터의 관심사52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21 광고 또 광고 "끔찍한 피드"에 벌써 지쳤나…스레드 열풍 꺾였다 출시 나흘 만에 1억 가입자를 모으며 전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던 메타(구 페이스북)의 새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레드(Threads)' 열풍이 한풀 꺾였다. 핵심 기능이 부족한 데다 인플루언서나 마케팅 관련 게시물이 피드를 도배하면서 사용자들이 피로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애플, 생성형AI 경쟁 참전… '챗GPT' 유사한 챗봇 개발중 글로벌 빅테크 기업 애플이 자체 인공지능(AI) 챗봇 개발에 나섰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오픈AI와 구글이 선점한 시장에서 애플의 생성형 AI가 이들의 대항마로 떠오를지 주목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각) 블룸버그 등 외신은 애플 개발팀이 지난해 '애플GPT'(가칭)라는 이름의 AI를.. 2023. 7. 24.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20 AI 속도조절 네이버 '큐' 사인 늦췄다 네이버가 이달 베타버전으로 선보일 예정이었던 차세대 인공지능(AI) 검색 챗봇 ‘큐:(CUE:)’의 공개시기로 올 가을로 늦췄다. 다음달 24일 초거대 AI 모델이자 네이버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서비스라 평가받는 ‘하이퍼클로바X’의 출시가 예정된 만큼, 하이퍼클로바X 공개 후 ‘큐:’를 선보이겠다는 전략적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글로벌 AI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챗GPT의 기세가 한풀 꺾인 만큼, 섣부른 시장 진입 보다는 ‘큐:’의 완성도를 끌어올리는데 보다 공을 들이겠다는 전략적 판단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행태정보 따로 저장하라"..'맞춤형 광고 가이드라인'에 업계 우려 심화 정부가 ‘온라인 맞춤형 광고 가이드라인’ 제정을 추진 중인 가운데, 국내 .. 2023. 7. 24.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19 페이스북, 영상 탭 개편...릴스·추천 강조 미국 IT매체 엔가젯은 17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이 릴스와 추천 기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영상 탭을 개편해 인스타그램 스타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페이스북 영상에는 릴스 편집 툴도 적용되며, 트렌드 클립과 추천 콘텐츠를 보여주는 '탐색' 영역도 생긴다. 스레드 열풍 주춤…1주일새 이용자 수 반토막 17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엔가젯은 트래픽 분석업체 시밀러웹 조사 결과를 인용해, 스레드 이용률이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보도했다. 출시 다음 날인 7일 4천900만명이던 스레드 일간활성화이용자수(DAU)는 14일엔 2천360만명으로 51.8% 줄어들었다. 스레드 이용률이 높은 미국에서는 같은 기간 하루 이용 시간이 21분에서 6분으로 떨어졌.. 2023. 7. 24.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18 1억명 끌어모은 '스레드', 조만간 'DM' 등 새 기능 탑재 출시 5일 만에 가입자 1억명을 끌어모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새 소셜미디어(SNS) 스레드가 조만간 DM(Direct Messaging) 등 새로운 기능을 탑재해 다시 한번 가입자 몰이에 나섰다. 기념일이면 바뀌던 '네이버 로고', 광고에도 활용 네이버가 특별한 날이나 기념일마다 디자인을 바꾸던 포털 로고를 광고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경기 침체로 광고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광고 상품을 다양화해 수익을 제고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집중호우에 배송 어쩌나"… 쿠팡·컬리·G마켓·11번가 `초비상`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전국 곳곳에 집중호우가 이어지면서 온라인 유통가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1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쿠팡, 컬리, 11번가, G마켓.. 2023. 7. 18.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17 지원군? 점령군?… 유튜브 참전한 라이브커머스 ‘긴장’ 라이브커머스 시장 경쟁에 유튜브가 참전했다. 압도적인 이용자 수를 보유한 유튜브의 등장은 유통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유튜브가 음악 스트리밍 시장을 장악한 것처럼 막강한 영향력으로 빠르게 시장을 차지할 것인지, 침체된 라이브커머스 시장에 활기를 일으킬 것인지 관심이 모인다. 네이버-다음, 카페 지원도 경쟁...커뮤니티 활성화 나서 국내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이 커뮤니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카페' 지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튜브와 틱톡 등 글로벌 빅테크의 공세에 맞서 커뮤니티를 무기로 이용자들의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한 전략이다. 컬리 이어 카카오·쿠팡까지...이커머스 '명품뷰티' 꽂힌 이유 명품 뷰티는 타 상품군 대비 비교적 높은 객단가로 고.. 2023. 7. 18.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7.13 머스크의 트위터, 스레드 링크 차단했다 앤디 바이오는 자신의 트레드를 통해 트위터에 명령어 "url:threads.net"을 검색하면 결과값을 얻을 수 없다”며, "트위터가 선별적으로 스레드 링크에 대한 검색을 막고 있다"고 밝혔다. 이전에도 일부 트위터 사용자들이 이 사실을 트위터를 통해 알린 바 있다. "백약이 무소용" 야위어가는 홈쇼핑 홈쇼핑 기업들이 신규 고객 유입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방송 시청자를 잡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TV 시청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이커머스 역시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 잡으면서 홈쇼핑의 위기라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홈쇼핑 업계는 모바일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새로운 아이템을 선보이는 등 고군분투하고 있다. ‘신세계 유니버스’ 5% 연봉..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