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eace :)
반응형

전체 글52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26 "1020 편의점·디지털 금액권, 3040 백화점 상품권 선호" 1천100여명의 마케팅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무자 중 51%는 이벤트 참여자의 연령을 고려해 경품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별 선호 경품으로는 10대-편의점 모바일 금액권(35%), 20대-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디지털 금액권(30%), 30대-백화점 상품권(43%), 40대-백화점 상품권(72%)이 1위를 차지했다. 네이버, 플레이스 리뷰 기반 숙박 검색 강화… “원하는 숙소 손쉽게” 네이버에 쌓인 수많은 로컬 리뷰와 ‘AI 스니펫’이 만나 숙박 검색이 훨씬 편리해졌다. 네이버는 지난해 12월 자체 AI 기술과 키워드 리뷰 데이터를 결합해 맛집 검색을 고도화함으로써, 편리한 로컬 검색 경험을 제.. 2023. 6. 27.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23 인스타그램, 이젠 '릴스' 다운로드도 가능 미국 IT매체 테크크런치는 21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이 미국 이용자를 대상으로 릴스를 카메라롤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고 보도했다. 이용자는 공유 아이콘을 선택후 다운로드 옵션을 눌러 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 기능은 공개 계정에서만 가능하며,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원스토어, '원스토어 광고센터' 선보이고 광고 사업 진출 개발사들은 광고센터를 통해 원스토어에 입점한 게임을 대상으로 집행 가능한 차별화된 광고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혜택을 바탕으로 타 앱마켓 대비 인당 지출 금액이 높은 이용자를 보유한 원스토어 앱은 물론, 애드 익스체인지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지면에 광고 노출이 가능하다. 2023년 상반기 급부상 트렌드 "잘파세대·캐릭터마케팅·.. 2023. 6. 23.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22 네이버 AI챗봇 서비스명 '큐:' 확정 네이버가 다음달 중 인공지능(AI) 챗봇을 출시하고 검색 분야에서 글로벌 생성형 AI 경쟁에 본격 참전한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가 생태계 확산 측면에서 한발 앞서간 가운데 네이버는 한국 시장에 특화된 서비스로 20년간 지켜온 '검색 안방'을 수성한다는 전략이다. 20일 매일경제 취재 결과 네이버는 그간 '서치GPT'(가칭)로 알려진 차세대 검색 챗봇 서비스명을 '큐:(Cue:)'로 최종 확정하고 최근 특허청에 상표 출원 신청을 완료했다. '큐:'는 챗GPT를 도입한 MS '빙'처럼 챗봇 AI를 탑재한 검색 서비스다. 인스타 '릴스', 유튜브 '숏츠'‥네이버는 '엔클립'? 네이버가 숏폼(짧은 영상) 서비스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숏폼 콘텐츠를 대.. 2023. 6. 22.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21 그 많던 메타버스 플랫폼은 어떻게 됐을까 팬데믹 이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손꼽히며 주목받던 메타버스에 대한 이용자 관심도가 최근 1년 새 뚝 떨어진 모양새다. 기대를 받으며 이미 시장에 출시된 서비스들도 언제부턴가 별다른 새 소식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검색 투명성 어떻게 높일까"…네카오·구글·메타 등 머리 맞대 네이버·카카오·쿠팡·지마켓·우아한형제들·당근마켓·구글·메타·야놀자 등 주요 플랫폼 사업자들이 모여 플랫폼 자율 규제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지난달 공개된 자율규제 합의안 가운데 검색 노출 기준의 투명성을 어떻게 높일 지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2000만명 관심지역 분석…네이버 지도 ‘핫플’ 찾는다 네이버가 국내 2000만 이용자의 ‘관심지역’을 네이버 지도에 보여준다. 최근 트렌드에 .. 2023. 6. 21.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20 "실시간 소통해요" 인스타그램 '공지 채널' 기능 전 세계 도입 인스타그램이 크리에이터와 팔로워간 실시간 소통을 돕는 '공지 채널' 기능을 전 세계에 확대 도입한다. 크리에이터들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이용자들과 더 가까이 연결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메일은 여전히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 '고전'처럼 여겨지는 이메일 마케팅은 여전히 강력했다. 이메일 마케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 또한 모바일에서의 소통에 있어 이메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고객관계관리(CRM) 기업 세일즈포스는 마케팅 현황 보고서(State of Marketing)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앱) 푸시나 SMS 등 다른 채널이 성장했음에도 이메일은 여전히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 2023. 6. 20.
이커머스/마케팅 뉴스클리핑_06.19 네이버 인증서비스 간소화되고, 카톡에 보상형 광고 도입된다 국내 양대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22일부터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운영정책을 변경해 사용자 혜택 제공 및 편의성 개선에 나선다. 1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회원가입 시 선택적으로 실명 인증된 아이디로 가입할 수 있는 기능을 지난달 도입하고, 개인정보 처리 방침 변경사항을 15일 공지했다. 메타, 페이스북 크리에이터도 돈 벌게 해준다 메타는 페이스북 게시물을 올린 크리에이터에게 실적 보너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있다. 현재는 초대받는 이에게만 개방되며, 페이스북 공개 게시물을 통해 많은 사람과 상호작용할 시 수익 기회를 제공한다. ‘펀슈머’가 먹는 건 크다…머리만한 빵에 패티 4장 햄버거 이른바 ‘소식좌’ 열풍과 정반대.. 2023. 6. 19.
[경제신문 스크랩] 에이블리, 취향저격 추천…브랜디, AI로 하루배송 에이블리, 취향저격 추천…브랜디, AI로 하루배송 진화하는 '패션 테크'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15&aid=0004674262 패션 플랫폼의 정보기술(IT) 인프라는 개인 셀러들도 좋은 상품을 발굴해 팔 수 있는 발판이다. 최근 패션 플랫폼들이 주력하는 IT는 크게 두 가지다.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개인 맞춤형 추천과 빠르고 편리한 배송을 위한 수요예측 등 물류 인프라다. 여성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는 패션 테크의 선두주자다. 강석훈 대표와 최하늘 최고기술책임자(CTO·사진)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왓챠 창업자 출신들이 만든 에이블리는 2020년 맞춤형 추천을 위한 자체 AI 추천 모델을 개발했다. 월 이용.. 2022. 3. 16.
[ 짧고 간단한 마케팅 인사이트 #2. ] 검색광고(SA)🔍 최근 검색광고 분야의 광고 대행사의 면접을 보면서 내가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 면접 전 검색광고에 대해서 조사하고 학습했지만, 실제 광고를 집행한 경험이 없다는 것에 있어 아쉬움이 남았고 실제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해 면접이 끝나자마자 내 결과를 이미 예측하고 있다. 짧게 나마 면접 전 검색광고 마케팅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포스팅 해본다.😔 검색광고(SA)란? 온라인/디지털 마케팅의 일종이며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내용을 검색했을 때에 가장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광고이다. 포털사이트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했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광고가 노출되는 형식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야 하는 포털사이트의 특성상 모든 광고를 1면에 실을 수 없기에, 입찰가 경쟁이 심화된다. 검색.. 2022. 3. 15.
[경제신문 스크랩] 결국 갈등 터졌다…마트서 온라인 쇼핑몰까지 '집단행동' 결국 갈등 터졌다…마트서 온라인 쇼핑몰까지 '집단행동' 카드사 끝없는 '수수료 갈등' "0.05~0.1%P 인상 일방적 통보" 전자지급결제업계도 반발 나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15&aid=0004673779 결국 갈등 터졌다…마트서 온라인 쇼핑몰까지 '집단행동' 온라인 쇼핑몰의 ‘대표 가맹점’ 역할을 하는 전자지급결제(PG)업계가 신용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 인상안에 반발하고 나섰다. 동네 중형마트에 이어 PG사까지 카드사 비판 대열에 합류하면 news.naver.com 온라인 쇼핑몰의 ‘대표 가맹점’ 역할을 하는 전자지급결제(PG)업계가 신용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 인상안에 반발하고 나섰다. 동네 중형마트에 이어.. 2022. 3. 15.